每朔料 | 달마다 받는 료

每朔. 祿米十二斗, 太五斗 太倉推來.
蔘價錢三兩六錢 醫監ㆍ蔘契ㆍ貢房出.
壯紙四張半,
白紙一束 禮曹貢房出. 壯紙代錢, 每張五分, 中紙則每張四分, 白紙代錢每束二錢.

매달: 녹(祿)으로 쌀 12말, 콩 5말 태창(太倉)에서 추래(推來)한다.
인삼값 대전 3냥 6전 전의감, 삼계(蔘契), 공방(貢房)이 낸다.
장지(壯紙) 4장 반,
백지 1속 예조공방(禮曹貢房)이 낸다. 장지의 대전(代錢)은 장당 5푼씩이고, 중지(中紙)는 장당 4푼씩이고, 백지의 대전은 속당 2전씩이다.

正朝紅綿紬1一幅, 端午冬至眞紅綿紬二幅,
方物封裹後眞紅綿紬一尺 禮曹庫直處出.

설날의 붉은 비단 1폭, 단오와 동짓날의 진홍색 비단 2폭,
방물을 봉과(封裹)한 뒤에 진홍색 비단 1척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正月. 江原米十二斗一升三合九夕 禮曹貢房出,
木半疋, 錢一兩 禮曹奇別軍士持來. 十二月. 2

정월: 강원미3 13말 1되 3홉 9작 예조공방(禮曹貢房)이 낸다,
무명 반 필, 돈 1냥 예조기별군사(禮曹奇別軍士)가 가지고 온다. 12월이다.

二月. 湖南米一石二合五夕, 錢一兩四錢,
木半疋, 木七疋 禮曹貢房出.

2월: 호남미 1섬 2홉 5작, 돈 1냥 4전,
무명 반 필, 무명 7필 예조공방이 낸다.

三月. 江原布一疋半 禮曹貢房出.

3월: 강원포(江原布) 1필 반 예조공방이 낸다.

四月. 木半疋, 錢一兩 禮曹奇別軍士持來, 木三分二 禮曹庫直處出.

4월: 무명 반 필, 돈 1냥 예조기별군사가 가지고 온다, 무명 3분의 2필 예조고지기 자리에서 낸다.

五月. 江原米六斗五升四合, 田米六斗九升四合 禮曹貢房出,
米十斗, 木三分二 禮曹庫直處出.

5월: 강원미 6말 5되 4홉, 밭벼쌀 6말 9되 4홉 예조공방이 낸다,
쌀 10말, 무명 3분의 2필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六月. 湖南米一石二合五夕, 錢一兩四錢, 木半疋,
木七疋 禮曹貢房出, 江原布代米半石 禮曹貢房出.

6월: 호남미 1섬 2홉 5작, 돈 1냥 4전, 무명 반 필,
무명 7필 예조공방이 낸다,4 강원포를 대신하는 쌀 반 섬 예조공방이 낸다.

七月. 四升布二十二尺, 或木二十二尺 禮曹庫直處出,
木半疋, 錢一兩 禮曹奇別軍士持來.

7월: 넉새베 22척, 혹은 무명 22척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무명 반 필, 돈 1냥 예조의 기별군사가 가지고 온다.

九月. 米十斗,
木三分二 禮曹庫直處出.

9월: 쌀 10말,
무명 3분의 2필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十月. 湖南米一石二合五夕, 錢一兩四錢, 木半疋,
木七尺 禮曹貢房出,
布十八尺 禮曹庫直處出,
木半疋, 錢一兩 禮曹奇別軍士持來.

10월: 호남미 1섬 2홉 5작, 돈 1냥 4전, 무명 반 필,
무명 7필 예조공방이 낸다,
삼베 18척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무명 반 필, 돈 1냥 예조의 기별군사가 가지고 온다.

十一月. 米十斗, 木三分二 禮曹庫直處出.

11월: 쌀 10말, 무명 3분의 2필 예조고지기 쪽에서 낸다.

十二月. 戶長錢五兩, 年從錢三錢六分 禮曹房直5出, 而庫直處推尋,
牧丹皮價三兩六錢 醫監ㆍ都庫ㆍ藥局出.

12월: 호장전(戶長錢) 5냥, 연종전(年從錢) 3전 6푼 예조방지기가 내는데, 고지기 쪽에서 추심한다,
목단피 값 3냥 6전 전의감과 도고(都庫), 약국(藥局)이 낸다.

行下 三堂上宅下人處, 各一兩五錢式. 禮曹房直處告事次三兩, 敎旨持來下人五錢.

행하(行下) 세 당상관 댁 하인에게 각 1냥 5전씩이다. 예조방지기에게 고사(告事)하기 위한 비용 3냥, 교지를 가지고 오는 하인에게 5전이다.


  1. 綿紬:원본에는 ‘綿細’로 되어있으나 오기이다. ↩︎

  2. 원본에는 이 뒤에 ‘十二月’이 삽입되어 있는데 오류이다. ↩︎

  3. 강원미:지역명으로 해당 도에서 난 쌀이다. 이후도 동일하다. ↩︎

  4. 2월과 동일하다. ↩︎

  5. 房直:원본에는 ‘直房’으로 되어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