每朔料布帙 | 달마다의 요포에 대한 질

禮庫. 糯米二石五斗 從市直, 作錢. 通引料米三斗給.
淸醬八升, 甘醬七升, 每升二分八利式.
眞油三升六合 每升一錢六分式.
眞末四升五合 每升二分式.
鹽八升.
馬太十斗三升.
馬粥租七斗二升.

예고의 경우: 찹쌀 2섬 5말 시장가격에 따라 돈으로 바꾼다. 통인에게 급료로 쌀 3말을 준다.
청장(진하지 않은 간장) 8되, 감장(甘醬) 7되인데 되당 2푼 8리씩이다.
참기름 3되 6홉 되당 1전 6푼씩이다.
밀가루 4되 5홉 되당 2푼씩이다.
소금 8되.
말먹이 콩 10말 3되.
마죽벼 7말 2되.

營庫. 糯米一石六斗六升 從市直, 作錢.
朔布代錢四兩.

영고의 경우: 찹쌀 1섬 6말 6되 시장가격에 따라 돈으로 바꾼다.
삭포를 대신하는 돈 4냥.

魚物庫. 民魚四尾 每尾五錢式.
石魚九束 每束一錢五分式.
石花鹽二升七合. 每升二錢式.

어물고의 경우: 민어 4마리 마리당 5전씩이다.
조기 9두름 두름당 1전 5푼씩이다.
석화염1 2되 7홉 되당 2전씩이다.

營繕. 自十月至二月合五朔, 燒木九十丹 房木每丹二分五里式.
炭九丹 炉炭作錢則三錢. 柴木九十丹 兼食木每丹二分式.
柴木一百二十丹 馬木每丹二分式. 穀草六十丹 馬草每丹三分式. 每朔合, 八兩五錢五分式.
自三月至四月合二朔, 燒木六十丹. 柴木六十丹.
炭九斗. 馬柴木一百二十丹 兼食木. 穀草六十丹 每朔七兩二錢式.
自五月九月合五朔, 燒木六十丹. 柴木六十丹.
炭九斗. 馬柴木一百二十丹 兼食木. 靑草六十丹 每丹五分式.
每朔合, 八兩四錢式.

영선고의 경우: 10월부터 2월까지 5개월 동안 참나무 장작 90단 방목2은 단당 2푼 5리씩이다.
숯 9말 화로 숯은 돈으로 바꾸면 3전이다. 땔나무 90단 식목(食木)을 겸한다. 단당 2푼씩이다.
땔나무 120단 마목(馬木)은 단당 2푼씩이다. 볏짚 60단 마초(馬草)는 단당 3푼씩이다. 1개월당 합계 8냥 5전 5푼씩이다.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 동안 참나무 장작 60단. 땔나무 60단.
숯 9말. 마시목(馬柴木) 120단 식목을 겸한다. 볏짚 60단 1개월당 7냥 2전씩이다.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 동안 참나무 장작 60단. 땔나무 60단.
숯 9말. 마시목 120단 식목을 겸한다. 푸른 풀 60단 단당 5푼씩이다.
1개월당 합계 8냥 4전씩이다.

工庫. 別白紙二束 每束一兩式. 次白紙一束 每束六錢式.
年紙一束 每束一錢五分式. 白筆一柄 三分. 南草二斤十三兩 作錢則九錢, 工庫子入.

공고의 경우: 별백지(別白紙) 2속 속당 1냥씩이다. 차백지(次白紙) 1속 속당 6전씩이다.
연지(年紙) 1속 속당 1전 5푼씩이다. 백필 1자루 3푼이다. 담배 2근 13냥 돈으로 바꾸면 9전으로, 공고지기가 들인다.

三月 日, 油衫紙八張,
笠帽紙一張 三錢五分式, 工庫色吏納,
白木纓次作錢六分,
法油三升三合 每升一錢五分式. 工庫子入.

3월 모일에는 유삼지(油衫紙) 8장과
갈모지 1장 3전 5푼씩이다. 공고 색리가 들인다.3
흰 무명으로 된 갓끈 재료값 1전 6푼과
들기름 3되 3홉 되당 1전 5푼씩이다. 공고지기가 들인다4.

墨庫. 大節二丁 中節則四丁, 小節則八丁, 代錢四錢.

먹고(墨庫)의 경우: 큰 크기로 2정 중간 크기로는 4정, 작은 크기로 8정이다.을 대신하는 돈 4전.

軍餉庫. 菜蔬一兩二錢.

군향고의 경우: 채소 1냥 2전.

營庫. 五月 日, 牟開倉時例下五石 從市直, 作錢.
春秋衣資各四兩 春則正月, 秋則七月.
十月租開倉時例下五石 從市直, 作錢. 歲饌米三斗, 端午米一斗, 秋夕米一斗, 冬至米一斗, 赤豆一斗, 禮庫.
二月 日, 本官, 公石五十立 盖墻次, 每立三分式.
二月三月間, 軍餉, 分給時, 具綱空石四百立 每立二分五里, 或每立五分式, 或行廊蓋屋次.
墻垣修補, 凡干雜役處募軍, 等待爲之.
下處修補, 勿論某處, 本府造備.

영고의 경우: 5월 모일, 밀을 개창(開倉)5할 때 예하(例下) 5섬 시장 가격에 따라 돈으로 바꾼다.
봄ㆍ가을 옷감값으로 각 4냥씩 봄에는 정월, 가을에는 7월이다.
10월, 벼를 개창할 때 예하 5섬 시장 가격에 따라 돈으로 바꾼다. 세찬미 3말. 단오미 1말. 추석미 1말. 동지미 1말. 팥 1말은 예고에서 낸다.
2월 모일, 본관(本官) 빈가마니 50닢 담장을 덮을 비용인데, 1닢당 3푼씩이다.
2월과 3월 사이 군량을 나누어 줄 때 줄을 갖춘 빈 가마니 400닢 1닢당 값은 2푼 5리씩이거나 1닢당 5푼씩이다. 혹은 행랑 지붕을 덮을 비용으로도 쓴다.
담장의 수보(修補)는 모든 잡역에 관계되는 곳의 모군(募軍)을 기다렸다 한다.
임시 숙소의 수보는 아무 처소든지 가리지 말고 본부에서 마련해 대비한다.


  1. 석화염:소금으로 끓인 굴 껍데기를 불에 구워 가루 낸 것이다. ↩︎

  2. 방목:방을 따뜻하게 하는 용도의 장작이다. 식목은 음식을 만드는 용도의 장작이다. ↩︎

  3. 원본에는 유삼 이하가 밑줄로 묶여있다. ↩︎

  4. 원본에는 흰 무명으로 된 갓끈 이하가 밑줄로 묶여있다. ↩︎

  5. 개창(開倉):창고를 열어 저장 중인 곡식을 내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