栽植 | 재식

大典續錄 | 대전속록 1492년

〔栽植〕 各司分爲左右邊, 栗島亦半分而授, 每年各植稚桑, 大司, 三百條, 中司, 二百條, 小司, 一百條, 幷古桑亦曲盡培養, 以稚桑栽植多少, 古桑茂盛與否, 定其勝否. 如有斫伐者, 斫伐人及看守人ㆍ島內居各司奴等, 依松木所取例論. … 右邊所屬, 內贍寺ㆍ司䆃寺ㆍ司僕寺ㆍ典醫監ㆍ觀象監ㆍ繕工監ㆍ承文院ㆍ掌樂院ㆍ司圃署ㆍ訓鍊院ㆍ廣興倉ㆍ典設司ㆍ義盈庫ㆍ平市署ㆍ西活人署ㆍ掌苑署ㆍ典獄署ㆍ校書館ㆍ惠民署ㆍ東活人署ㆍ歸厚署ㆍ中學ㆍ瓦署.

〔재식〕 각 관청을 좌변과 우변으로 편성하고 밤섬[栗島]도 절반씩 나누어 준다. 매년 각 관청을 뽕나무 묘목을 심되, 대형 관청은 300주, 중형 관청은 200주, 소형 관청은 100주를 심는다. 아울러 오래된 뽕나무도 정성스레 길러야 한다. 뽕나무 묘목을 얼마나 심었는지, 오래된 뽕나무가 무성한지를 따져 성과를 결정한다. 만약 뽕나무를 벤 자가 있거든 그자와 그 나무를 간수해야 하는 자와 밤섬에 상주하는 관노비들을 소나무 베는 경우와 동일하게 죄를 논한다. … 우변에 편성된 관청은 내섬시ㆍ사도시ㆍ사복시ㆍ전의감ㆍ관상감ㆍ선공감ㆍ승문원ㆍ장악원ㆍ사포서ㆍ훈련원ㆍ광흥창ㆍ전설사ㆍ의영고ㆍ평시서ㆍ서활인서ㆍ장악서ㆍ전옥서ㆍ교서관ㆍ혜민서ㆍ동활인서ㆍ귀후서ㆍ중학ㆍ와서이다.

▶ 출처: 工典 > 栽植 > [各司分爲左右邊…]

典錄通考 | 전록통고 1707년

〔續錄〕 各司分爲左右邊, 栗島亦半分而授, 每年各植稚桑, 大司, 三百條, 中司, 二百條, 小司, 一百條, 幷古桑亦曲盡培養. 以稚桑栽植多少, 古桑茂盛與否, 定其勝否. 如有斫伐者, 斫伐人及看守人ㆍ島內居各司奴等, 依松木斫取例論. … 右邊所屬, 內贍寺ㆍ司䆃寺ㆍ司僕寺ㆍ典醫監ㆍ觀象監ㆍ繕工監ㆍ承文院ㆍ掌樂院ㆍ司圃署ㆍ訓鍊院ㆍ廣興倉ㆍ典設司ㆍ義盈庫ㆍ平市署ㆍ西活人署ㆍ掌苑署ㆍ典獄署ㆍ校書館ㆍ惠民署ㆍ東活人署ㆍ歸厚署ㆍ中學ㆍ瓦署.

〔대전속록〕 각 관청을 좌변과 우변으로 편성하고 밤섬[栗島]도 절반씩 나누어 준다. 매년 각 관청을 뽕나무 묘목을 심되, 대형 관청은 300주, 중형 관청은 200주, 소형 관청은 100주를 심는다. 아울러 오래된 뽕나무도 정성스레 길러야 한다. 뽕나무 묘목을 얼마나 심었는지, 오래된 뽕나무가 무성한지를 따져 성과를 결정한다. 만약 뽕나무를 벤 자가 있거든 그자와 그 나무를 간수해야 하는 자와 밤섬에 상주하는 관노비들을 소나무 베는 경우와 동일하게 죄를 논한다. … 우변에 편성된 관청은 내섬시ㆍ사도시ㆍ사복시ㆍ전의감ㆍ관상감ㆍ선공감ㆍ승문원ㆍ장악원ㆍ사포서ㆍ훈련원ㆍ광흥창ㆍ전설사ㆍ의영고ㆍ평시서ㆍ서활인서ㆍ장악서ㆍ전옥서ㆍ교서관ㆍ혜민서ㆍ동활인서ㆍ귀후서ㆍ중학ㆍ와서이다.

▶ 출처: 工典 > 栽植 > 續錄 > [栗島每年植稚桑]

增補典錄通考 | 증보전록통고 영조 연간 1725-1776년

〔續錄〕 各司分爲左右邊, 栗島亦半分而授. 每年各植稚桑, 大司三百條, 中司二百條, 小司一百條, 幷古桑亦曲盡培養. 以稚桑栽植多少, 古桑茂盛與否, 定其勝否. 如有斫伐者, 斫伐人及看守人ㆍ島內居各司奴等, 依松木斫取例論 依受敎, 生松元株斫伐, 則杖一百徒三年, 枝葉斫伐者, 杖一百. … 右邊所屬, 內贍寺ㆍ司䆃寺ㆍ司僕寺ㆍ典醫監ㆍ觀象監ㆍ繕工監ㆍ承文院ㆍ掌樂院ㆍ司圃署ㆍ訓鍊院ㆍ廣興倉ㆍ典設司ㆍ義盈庫ㆍ平市署ㆍ西活人署ㆍ掌苑署ㆍ典獄署ㆍ校書館ㆍ惠民署ㆍ東活人署ㆍ歸厚署ㆍ中學ㆍ瓦署. …

〔대전속록〕 각 관청을 좌변과 우변으로 편성하고 밤섬[栗島]도 절반씩 나누어 준다. 매년 각 관청을 뽕나무 묘목을 심되, 대형 관청은 300주, 중형 관청은 200주, 소형 관청은 100주를 심는다. 아울러 오래된 뽕나무도 정성스레 길러야 한다. 뽕나무 묘목을 얼마나 심었는지, 오래된 뽕나무가 무성한지를 따져 성과를 결정한다. 만약 뽕나무를 벤 자가 있거든 그자와 그 나무를 간수해야 하는 자와 밤섬에 상주하는 관노비들을 소나무 베는 경우와 동일하게 죄를 논한다. 수교(受敎)에 따라 멀쩡한 소나무의 줄기를 베면 장형 100대와 도형 3년에 처하며, 가지를 베면 장형 100대에 처한다 … 우변에 편성된 관청은 내섬시ㆍ사도시ㆍ사복시ㆍ전의감ㆍ관상감ㆍ선공감ㆍ승문원ㆍ장악원ㆍ사포서ㆍ훈련원ㆍ광흥창ㆍ전설사ㆍ의영고ㆍ평시서ㆍ서활인서ㆍ장악서ㆍ전옥서ㆍ교서관ㆍ혜민서ㆍ동활인서ㆍ귀후서ㆍ중학ㆍ와서이다.

▶ 출처: 工典 > 栽植 > 《續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