給保 | 급보

經國大典 | 경국대전 1485년

〔給保〕 京ㆍ外軍士給保, 有差. 二丁爲一保, 甲士給二保. … ○司譯院ㆍ典醫監ㆍ觀象監官員生徒, 惠民署官員ㆍ算員ㆍ律員生徒, 道流生徒ㆍ弓人ㆍ失人ㆍ畫員生徒諸員, 馬醫ㆍ皂隷ㆍ羅將ㆍ醫生ㆍ律生ㆍ書員ㆍ日守ㆍ牧子ㆍ津夫ㆍ氷夫, 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 則三人, 毋定他役. 書吏ㆍ樂生ㆍ司僕諸員ㆍ水夫無同居人, 則定戶別一人.

〔급보〕 도성과 지방 군사의 급보(給保)1는 차이를 둔다.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갑사(甲士)에게는 보인 2명을 준다. …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 관원과 생도, 혜민서 관원ㆍ산원ㆍ율원과 생도, 소격서 생도, 궁인(弓人)ㆍ시인(矢人)ㆍ화원과 생도 등의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고 있는 친족 중에서 1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2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3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동거하는 친족이 없는 서리ㆍ악생ㆍ사복시 관원ㆍ수부는 다른 호에서라도 따로 1인을 정해 준다.

▶ 출처: 兵典 > 給保 > [京ㆍ外軍士]

典錄通考 | 전록통고 1707년

〔給保〕 ○京ㆍ外軍士給保, 有差. 二丁爲一保, 甲士給二保. … ○司譯院ㆍ典醫監ㆍ觀象監官員生徒, 惠民署官員, 算員ㆍ律員生徒, 道流生徒, 弓人, 矢人, 畫員生徒, 諸員, 馬醫, 皂隷, 羅將, 醫生, 律生, 書員, 日守, 牧子, 津夫, 氷夫, 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 則三人, 毋定他役. …

〔급보〕 도성과 지방 군사의 급보(給保)는 차이를 둔다.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갑사(甲士)에게는 보인 2명을 준다. …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 관원과 생도, 혜민서 관원ㆍ산원ㆍ율원과 생도, 소격서 생도, 궁인ㆍ시인ㆍ화원과 생도 등의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고 있는 친족 중에서 1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2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3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

▶ 출처: 兵典 中 > 給保 > [大典] > [京ㆍ外軍士給保]

增補典錄通考 | 증보전록통고 영조 연간 1725-1776년

給保. 京ㆍ外軍士, 給保有差. 二丁爲一保, 甲士給二保 … ○司譯院ㆍ典醫監ㆍ觀象監官員ㆍ生徒,惠民署官員ㆍ算員ㆍ律員ㆍ生徒ㆍ道流生徒ㆍ弓人ㆍ矢人ㆍ畫員ㆍ生徒ㆍ諸員ㆍ馬醫ㆍ皂隷ㆍ羅將ㆍ醫生ㆍ律生ㆍ書員ㆍ日守ㆍ牧子ㆍ津夫ㆍ氷夫ㆍ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 則三人, 毋定他役 …

급보. 도성과 지방 군사의 급보(給保)는 차이를 둔다.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갑사(甲士)에게는 보인 2명을 준다. …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 관원과 생도, 혜민서 관원ㆍ산원ㆍ율원과 생도, 소격서 생도, 궁인ㆍ시인ㆍ화원과 생도 등의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고 있는 친족 중에서 1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2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3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

▶ 출처: 兵典 > 給保 > [大典]

典律通補 | 전율통보 1761년, 1787년

○諸色人, 給保. 〔續〕 ○二丁, 爲一保. 〔經〕 ○ … 醫女ㆍ針線婢, 亦有保. 〔續〕 〔補〕 … ○大典法, 軍士及漕卒, 同居子ㆍ壻ㆍ弟, 毋定他役, 司譯院ㆍ典醫ㆍ觀象監官員ㆍ生徒, 惠民署官員, 籌員ㆍ律員生徒, 弓人ㆍ矢人ㆍ畫員生徒諸員, 馬醫ㆍ皀隷ㆍ羅將ㆍ醫生ㆍ律生ㆍ書員ㆍ日守ㆍ牧子ㆍ津夫ㆍ氷夫ㆍ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則三人, 毋定他役 … 〔補〕

○각 담당자의 급보. 〔속대전〕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경국대전〕 ○ … 의녀ㆍ침선비에게도 보인을 둔다. 〔속대전〕 〔보충〕 … ○경국대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군사와 조졸(漕卒)은 함께 사는 아들ㆍ사위ㆍ동생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의 관원과 생도, 혜민서의 관원, 산원ㆍ율원과 생도, 궁인ㆍ시인, 화원과 생도 등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는 친족 중 1인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동거하는 친족 중 2인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동거하는 친족 중 3인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보충〕

▶ 출처: 兵典 > 名簿 > [諸色人給保]

大典通編 | 대전통편 1785년

〔給保〕 〔原〕 京ㆍ外軍士給保, 有差. 二丁爲一保, 甲士給二保. … ○司譯院ㆍ典醫監ㆍ觀象監官員生徒, 惠民署官員, 籌員ㆍ律員生徒, 道流生徒, 弓人, 失人, 畫員生徒諸員, 馬醫, 皂隷, 羅將, 醫生, 律生, 書員, 日守, 牧子, 津夫, 氷夫, 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 則三人, 毋定他役. …

〔급보〕 〔경국대전〕 도성과 지방 군사의 급보(給保)는 차이를 둔다.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갑사(甲士)에게는 보인 2명을 준다. …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 관원과 생도, 혜민서 관원ㆍ산원ㆍ율원과 생도, 소격서 생도, 궁인(弓人)ㆍ시인(矢人)ㆍ화원과 생도 등의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고 있는 친족 중에서 1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2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3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

▶ 출처: 兵典 > 給保 > [軍士給保]

大典會通 | 대전회통 1865년

〔給保〕 〔原〕 京ㆍ外軍士給保, 有差. 二丁爲一保, 甲士給二保. … ○司譯院ㆍ典醫監ㆍ觀象監官員生徒, 惠民署官員, 籌員ㆍ律員生徒, 道流生徒, 弓人, 失人, 畫員生徒, 諸員, 馬醫, 皂隷, 羅將, 醫生, 律生, 書員, 日守, 牧子, 津夫, 氷夫, 進獻席匠, 則同居族親中一人, 書吏ㆍ樂生ㆍ良人樂工ㆍ水夫, 則二人, 院主, 則三人, 毋定他役. …

〔급보〕 〔경국대전〕 도성과 지방 군사의 급보(給保)는 차이를 둔다. 장정 2인당 보인(保人) 1명이다. 갑사(甲士)에게는 보인 2명을 준다. … ○사역원ㆍ전의감ㆍ관상감 관원과 생도, 혜민서 관원ㆍ산원ㆍ율원과 생도, 소격서 생도, 궁인(弓人)ㆍ시인(矢人)ㆍ화원과 생도 등의 각 관원과 마의(馬醫)ㆍ조례ㆍ나장ㆍ의생(醫生)ㆍ율생ㆍ서원ㆍ일수ㆍ목자ㆍ진부ㆍ빙부ㆍ중국에 보내는 돗자리를 만드는 장인은 동거하고 있는 친족 중에서 1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서리ㆍ악생ㆍ양인인 악공ㆍ수부는 2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각 원(院)의 원주(院主)는 3명의 신역들을 면제한다. …

▶ 출처: 兵典 > 給保 > [軍士給保]


  1. 급보(給保):군역에 종사하는 군사에게 보인(保人, 봉족奉足) 2명을 주는 제도이다. 보인은 군대에 가지 않는 대신 보미(保米)나 보포(保布)를 내어 군역에 종사하는 사람을 돕는다. ↩︎